소방차 정 비

브레이크

낙원짱 2010. 2. 15. 06:28

▣브레이크 관련 점검사항 및 규격
  1) 브레이크 오일
      - 규      격 : 쌍용자동차 순정오일 (DOT4)    <- 차마다 다르겠지만 거의 유사
      - 교환주기 : 매2년마다 교환   <- 사실 이렇게 교환하지는 않음:보충만으로도 충분???
      - 점      검 : 일일점검사항이며, 오일량 및 오일 누유및 작동 상태등을 점검


  2)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
     -  규     격 : 순정부품
     - 교환주기 : 마모량에 따라 교환 (마모한계량: 약 2㎜ )  <- 남아 있는 라이닝(패드) 두께를 말함
     - 점      검 : 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3) 브레이크 (제동) 등
     - 브레이크등이 고장난 경우, 상대방 차량 안전운행에 영향을 미치므로 수시로
       브레이크등의 작동상태를 확인한 후, 고장시 바로 수리하시길 바랍니다.


※[주] 1.브레이크 오일은 브레이크 유압계통의 혈액으로서 윤활성이 좋고, 흡습성이
             낮은 특성이 있으나, 잦은 브레이크의 사용 및 급브레이크 사용으로 인하여
             그 특성이 변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행전 반드시 일일점검을 하시고
             정기적인 교환주기에 따라서 반드시 교환해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교환하지 않을 경우, 오일내의 수분함유 및 오일고유의 특성변화로
             인해 주행시, 특히 내리막길 주행시 페이드현상, 베이퍼록 및 스폰지 현상등으로
             인해 심각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브레이크 패드의 마모가 심할경우, 브레이크 오일레벨이 줄어 들어 브레이크
            오일 경고등을 점등시킬 수 있으므로 경고등 점등시에는 반드시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의 마모상태를 점검하십시오.

 

☞ 브레이크 작동력 점검 (Ⅰ)
     - 엔진시동 OFF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답력을 형성시킨 후, 엔진시동시
        브레이크 페달이 내려가면 정상

 

☞ 브레이크 작동력 점검 (Ⅱ)
     - 엔신시동 1~2분후, 시동 OFF를 한 상태에서 페달을 1회 밟았을때 행정이 낮아지고
       3~4회 작동시 페달이 높아지면 정상 (페달이 딱딱해 진다고 해야 이해가 쉬움)

 

☞ 브레이크 작동력 점검 (Ⅲ)
     - 엔진시동후, 페달을 3~4회 밟아 답력을 형성시킨 뒤,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

       OFF 후, 30초 경과시 페달의 높이가 변하지 않으면 정상  (이건 무슨 말인지...ㅡㅜ)

 


◈ 잦은 브레이크 사용 및 급브레이크 작동시 발생되는 현상

 

   1. 베이퍼 록(Vapour Lock)현상
       - 여름철 온도가 높을때 긴 내리막길등에서 풋브레이크를 많이 사용하면 브레이크를
          많이 사용하면 브레이크의 디스크(또는 드럼)와 패드(또는 라이닝)가 과열되어
          휠실린더 등의 브레이크 오일 속에 기포가 생기게 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유압이 전달되지 않아 브레이크가 잘 작동되지 않는 현상

 

   2. 페이드 (Fade)현상
       - 고속주행중 내리막길 등에서 짧은 시간안에 풋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
          급격하게 상승된 마찰열로 인하여,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이 과열되어
          변질되는데 이때,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은 마찰계수가 극히 작아져 고유의
          마찰력을 잃게 되어 브레이크를 밟아도 미끄러지고 브레이크가 듣지 않는 현상

 

   3. 스폰지 (Sponge)현상
       - 제동 시스템내의 베이퍼 록 현상으로 인한 기포발생, 브레이크 오일의 누유 또는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브레이크를 밟아도 스폰지를 누루듯 작동감이 없이
         그대로 페달이 밀려나가는 현상.
  
  ※[주] 1.타이어 휠의 청결유지 및 미관개선등의 이유로 고객이 시중에서 휠 더스트커버
              (Wheel Dust cover) 등을 임의대로 타이어에 장착할 경우, 브레이크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지 못해 베이퍼 록 및 페이드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제동성능 저하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다들 알루미늄 휠

             을 사용하죠)


◈ 올바른 주(풋)브레이크 작동법

   1. 주행중 차량 안전거리 유지를...
       - 주행중 잦은 브레이크와 급브레이크를 밟게되는 경우는 보통 차량간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고, 주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잦은 브레이크의 사용 또는 급브레이크 작동시에는 패드와 라이닝의 지속적인
          온도 상승 또는 급상승으로 페이드(Fade)나 베이퍼 록(Vapour lock)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급브레이크시는 차량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또는 현가장치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차량안전거리 확보는 매우 중요합니다.

 

   2. 긴내리막길에서는 엔진브레이크를...    (소방차는 배기브레이크 사용하세요....)
       - 긴 내리막길에 계속해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브레이크 장치의 과열로 페이드 현상
          또는 베이퍼록 현상등이 발생되어 심각한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내리막길 주행시에는 "되도록이면 가속페달을 밟지 말고 서행하십시오."
          " 제동시에는 풋브레이크와 엔진브레이크를 적절히 사용하십시오."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기 위해선 수동변속기일경우, 주행속도보다 저단의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최저단으로, 자동변속기인경우 3→2→1단으로 순차적으로
           저단 변속하여 주시면 됩니다.

 

   3. 빗길 또는 물이 고여있는 도로에서는 최대한 서행하시길...
        - 노면이 마른도로에 비해서 빗길 또는 물이 고여있는 도로에서는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계수가 급격히 감소됨에 따라, 그 제동거리가 약1.5배이상 길어져 반드시
           서행하셔야 합니다. 물이 고인 도로주행 후, 또는 세차후에는 브레이크 패드 또는
           라이닝에 물이 묻어 일시적으로 제동효율이 떨어지므로, 전후 차량에 주의를

           하면서 가볍게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습기를 말려 주십시오. (가끔 소리가 나기도 한답니다.)

 

 

◈ 비상시 읍급조치

 


   1. 주행중 주차브레이크 경고되면
        - 주행중 브레이크 경고등이 들어왔을땐 우선 주차 브레이크 레버가 내려져 있는지
           확인하고, 브레이크 오일량이 갑자기 줄어들었을 경우, 오일의 누유여부를
           확인하십시오. 오일누유의 흔적이 있다면 절대로 차량을 운행하지 마시고, 당사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주] 차종에 따라 경고등의 모양이 틀려질 수 있습니다.
                 해당차종의 취급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사이드 브레이크 밑에 스위치가 있는데 이게 잘못

                 되어도 경고등 들어옵니다.)


   2 . 주행중 ABS/TCS 경고등이 점등되면
        - 주행중 ABS 또는 TCS경고등이 점등되면 ABS장치에 이상이 발생했거나,
          TCS차량의 경우, 이상이 발생한 경우이므로 당사 서비스센터에서 점검 및 조치를
           받으십시오. 단, ABS와 EBD경고등이 동시에 점등되면 일반 브레이크는 작동이
           되나, 급브레이크시 위험하므로 당사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주] ABS를 포함한 기타 제동관련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일뿐, 장치를 과신하지
                 말고 안전운행을 하십시오.


    3. 주행중 브레이크가 작동하지않을 경우
        - 앞에 장애물이 없을 경우, 즉시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시고 풋브레이크를 끝까지
           밟은 상태에서(최소한의 브레이크 유압이라도 이용할 수 있도록) 변속레버를
           저단으로 변속시켜 엔진브레이크를 작동시키십시오.
           차의 속도가 떨어지면 주차브레이크를 천천히 당겨서 차를 정지시키십시오.
           위급상황에 따라, 차량손상을 감수하여 주변의벽 또는 가드레일과 순차적으로
           부딪혀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한번에 변속레버를 1단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차량정지후에는 절대로 차량 운행을 하지 마시고,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소방차 정 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차 고장발생시 응급조치 방법  (0) 2010.02.15
[스크랩] 남영물탱크차  (0) 2010.02.15
[스크랩] 고가사다리 조작법  (0) 2010.02.15
소방차 시험중  (0) 2010.02.14
소방차의 시작  (0) 2010.02.06